mac에서 virtual Box가 지원하지 않았다.
교수님이 서버를 만드시는 실습을 하셨는데, 윈도우로 하셔서..
독학으로 Rinux 기반 서버를 하나 만들어보자.
📦 1. Multipass로 Ubuntu VM 만들기 (macOS) -> multipass
virtualBox를 쓰지 않기 위한 발악이다.
✅ 설치 (Homebrew)
brew install --cask multipass
✅ Ubuntu VM 생성
(test-vm)이 VM 이름이겠다!
multipass launch --name test-vm
✅ 접속하기 (중요 )
multipass shell test-vm
이 시점부터는 Ubuntu VM 안에 들어가 있는 것!
⚙️ 참고.. VM 안에서 zsh + oh-my-zsh + powerlevel10k 설치 (불필요함)
터미널 꾸미기 할때 하시면 좋겠다.
✅ zsh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zsh -y
✅ oh-my-zsh 설치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 powerlevel10k 테마 적용
git clone --depth=1 https://github.com/romkatv/powerlevel10k.git $HOME/.oh-my-zsh/custom/themes/powerlevel10k
.zshrc에서 테마 변경:
ZSH_THEME="powerlevel10k/powerlevel10k"
source ~/.zshrc 또는 zsh 재실행하여 적용해주자.
🔐 SSH 서버 설치 및 설정
✅ OpenSSH 서버 설치
sudo apt install openssh-server -y
sudo systemctl start ssh
sudo systemctl enable ssh
✅ 비밀번호 로그인 허용 (중요!)
이 부분에서 sshd_config 들어가면 설정이 엄청나게 길게 나올 것이다.
아래 passwordAuthentication 이 부분을 찾아서 바꾸시면 된다!
바꾸고 저장도 같이 해야겠다
sudo nano /etc/ssh/sshd_config
- #PasswordAuthentication yes
+ PasswordAuthentication yes
또는 /etc/ssh/sshd_config.d/60-cloudimg-settings.conf에서:
- PasswordAuthentication no
+ PasswordAuthentication yes
설정을 바꾸면 재실행해야겠다.
sudo systemctl restart ssh
✅ ubuntu 계정에 비밀번호 설정
sudo passwd ubuntu
🌐 macOS에서 VM에 SSH 접속하기
✅ VM IP 확인 (macOS)야
혹은
multipass info test-vm
예: 192.168.64.2
✅ SSH 접속 (macOS 터미널)
ssh ubuntu@192.168.64.2
비밀번호 입력하면 접속 성공 입니다.
📁 참고 2. 파일 편집 - vim 기초
vim hello.txt
모드키설명
입력 | i | Insert 모드 진입 |
명령 | Esc | 명령 모드로 돌아가기 |
저장 | :w | 파일 저장 |
종료 | :q | 종료 |
저장 후 종료 | :wq | 저장하고 종료 |
강제 종료 | :q! | 저장 안 하고 종료 |
이걸로 뭘 할 수 있는가?
- 리눅스 명령어 실습 (ls, cd, grep, ps 등)
- Python, Node.js 서버 실행
- 웹 서버 띄우기 (python3 -m http.server)
- SSH 키 기반 접속 설정
- Git, Docker 등 설치하여 서버 개발 연습
뭐 별거 없어보이는데 생각보다 빡셈
얘들아 참고해라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H Key 설정 과정 정리 (0) | 2025.04.07 |
---|---|
🐧 Multipass로 Ubuntu VM 설정하기 (macOS 기준)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