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9

LINUX : BASH SCRIPT

Bash 스크립트란?Bash 스크립트는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파일로 저장해두고, 해당 파일을 실행하여 자동화하는 방식이다. 보통 .sh 확장자를 사용하지만 필수는 아니다. 그 이유는 리눅스에서는 파일 확장자 자체가 의미를 가지지는 않기 때문이다. Bash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이유복잡하거나 반복적인 명령어 작업을 손쉽게 자동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3줄의 명령어를 매번 수동으로 입력하는 대신#!/bin/bashecho "백업을 시작합니다..."cp -r /home/user/data /home/user/backupecho "백업이 완료되었습니다!"위 코드를 backup.sh에 담아 ./backup.sh만 실행하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프로그램 실행과 프로세스프로그..

Linux 2025.04.20

LINUX : OWNERSHIP + PERMISSION

리눅스 파일 소유권과 권한 이해하기 🔐리눅스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는 소유자와 권한 개념이 뚜렷하게 적용된다. 이 개념을 이해하면, 시스템 보안과 사용자 관리에 강력한 통제를 할 수 있다.파일 소유권의 3가지 대상User (u)해당 파일 또는 폴더를 생성한 사용자이며, 기본 소유자이다.Group (g)하나의 사용자는 여러 그룹에 속할 수 있으며,특정 그룹 소속 사용자들에게 권한을 공유할 수 있다.Other (o)User와 Group에 속하지 않은 나머지 사용자들이다.쉽게 말해 시스템 내 '기타 사용자', 쩌리 권한.3가지 권한 유형r (read) → 읽기 권한w (write) → 쓰기(수정) 권한x (execute) → 실행 권한 (스크립트, 프로그램 등)→ 총 조합은 rwx rwx rwx = 9자리 구조..

Linux 2025.04.20

LINUX : SSH

SSH?SSH는 Secure Shell의 약자로, 네트워크 상에서 암호화된 통신을 통해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보안성과 편의성을 높인 우월한 서버 접속 방법SSH의 기본 개념클라이언트(내 컴퓨터) ↔ 서버(원격 컴퓨터) 간 안전한 통신을 제공한다.주로 원격 서버 접속, 파일 전송, 명령어 실행 등에 사용된다.SSH Key 방식 인증 메커니즘클라이언트가 공개키(Public Key), 개인키(Private Key)를 생성한다.서버에 공개키를 등록한다.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면,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문제(Challenge)를 낸다.클라이언트는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화된 답을 만들어 제출한다.서버는 등록된 공개키로 이를 검증하여 맞으면 접속을 허가한다.따라서 공개키/개인키를 이..

Linux 2025.04.20

LINUX : SEVERAL UTILITY COMMANDS

4 MODES1. command mode (처음화면 혹은 esc 연타)2. command line mode (: 눌렀을때 명령어 치는 모드)3. insert mode (i 누르면 파일에다가 글 쓰는 모드)4. visual mode (v 누르고 시각적 선택모드) du (disk usage)디스크에서 내가 얼마나 용량을 쓰고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이다.du -sh-s: summary (요약만)-h: human-readable (KB, MB 등 사람이 보기 쉬운 단위)💡 기억법: 서머리 + 휴먼 = -sh df (disk free)디스크에서 얼마나 공간이 남아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이다.df -h-h: human-readable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 du는 얼마나 썼는지, df는 얼마나 남았는지를 ..

Linux 2025.04.20

LINUX : SUPERUSER + HIDDEN FILE

리눅스를 다루다 보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개념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sudo, apt, 그리고 .숨김파일 같은 것들이다. 이 중에서도 특히 주의 깊게 다뤄야 할 것이 바로 sudo와 root(superuser) 권한이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root 또는 superuser는 말 그대로 모든 권한을 가진 관리자 계정이다. 시스템 설정 변경, 파일 삭제, 네트워크 설정, 서비스 재시작 등 거의 모든 명령을 제약 없이 실행할 수 있다. 이 말은 곧, 작은 실수 한 번으로도 시스템을 망가뜨릴 수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보통은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작업을 하다가, 꼭 필요한 순간에만 root 권한을 잠깐 빌려 쓰는 것이 보안적으로도 훨씬 안전하다. 이 글에서는 sudo를 중심으로 안전하게 root 권한을 다루는 ..

Linux 2025.04.20

LINUX : PIPING OPERATOR

Pipe (|)의 핵심 개념 요약 (실압근)파이프란? → 한 명령어의 출력을 다음 명령어의 입력으로 넘기는 것 → 임시 파일 없이, 메모리 상에서 직접 전달되므로 빠르고 효율적임-> 중요한 점은, 메모리상에서 직접 전달 + 임시 파일 생성 없다는 것.예시 명령어들1. ls /etc | wc -l/etc 디렉토리 내의 항목 개수를 셈ls 결과를 wc -l에 넘김2. ls /etc | lessls 결과가 길 경우, less로 스크롤하며 확인종료는 qACTION #1 .중복된 줄이 총 몇 줄인가?기본적으로 연속된 중복 줄만 제거중복 제거 전 sort로 정렬 필요pipe op에서 파일 명시는 한번이면 족하다. (중요)sort file.txt | uniq file.txt | less file.txt 이래 하지말자..

Linux 2025.04.20

SSH Key 설정 과정 정리

다음은 로컬 클라이언트에서 SSH 키를 생성하고, 서버에 등록하여 비밀번호 없이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한 전체 과정을 정리한 것입니다.SSH키를 생성하면, 개인키와 공개키가 만들어지고, 우리는 그 공캐를 엄청나게 긴 .. 녀석을 복사해서서버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1. SSH 키 생성 (로컬)ssh-keygen -t rsa -b 4096 -C "your_email@example.com"기본 경로(~/.ssh/id_rsa)에 생성하거나 직접 경로 지정 가능.ssh/id_rsa: 개인키 (비공개).ssh/id_rsa.pub: 공개키 (서버에 등록할 키)✅ 2. 공개키 확인 및 복사 (로컬)cat ~/.ssh/id_rsa.pub출력되는 한 줄짜리 공개키 내용을 복사함✅ 3. SSH로 서버 접속 (비..

Linux 2025.04.07

🐧 macOS에서 Multipass + Ubuntu 서버 만들기 & SSH 접속 정리

mac에서 virtual Box가 지원하지 않았다.교수님이 서버를 만드시는 실습을 하셨는데, 윈도우로 하셔서..독학으로 Rinux 기반 서버를 하나 만들어보자. 📦 1. Multipass로 Ubuntu VM 만들기 (macOS) -> multipassvirtualBox를 쓰지 않기 위한 발악이다.✅ 설치 (Homebrew)brew install --cask multipass✅ Ubuntu VM 생성  (test-vm)이  VM 이름이겠다!multipass launch --name test-vm✅ 접속하기 (중요 ) multipass shell test-vm이 시점부터는 Ubuntu VM 안에 들어가 있는 것!⚙️ 참고.. VM 안에서 zsh + oh-my-zsh + powerlevel10k 설치 (불필..

Linux 2025.04.02

🐧 Multipass로 Ubuntu VM 설정하기 (macOS 기준)

Multipass란?Canonical에서 만든 경량화된 Ubuntu VM 런처간단한 명령어로 Ubuntu 가상 머신 실행 가능macOS, Windows, Linux 모두 지원 macOS에서 설치 방법상당히 오래걸리니, 참을성을 좀 갖고 하자.한번 깔리면 다음부턴 금방 깔린다.1. Homebrew로 설치brew install --cask multipass2. 설치 확인multipass version3. 테스트용 VM 실행참고로 이거하기 전에 multipass list를 실행해보자.(base) choewonbin@Binz-MacBook-Air-M2-15 ~ % multipass listName State IPv4 Imagefirst..

Linux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