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MODES
1. command mode (처음화면 혹은 esc 연타)
2. command line mode (: 눌렀을때 명령어 치는 모드)
3. insert mode (i 누르면 파일에다가 글 쓰는 모드)
4. visual mode (v 누르고 시각적 선택모드)
du (disk usage)
디스크에서 내가 얼마나 용량을 쓰고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du -sh
- -s: summary (요약만)
- -h: human-readable (KB, MB 등 사람이 보기 쉬운 단위)
💡 기억법: 서머리 + 휴먼 = -sh
df (disk free)
디스크에서 얼마나 공간이 남아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df -h
- -h: human-readable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
💡 du는 얼마나 썼는지, df는 얼마나 남았는지를 보여준다.
💬 주석 처리 방식
리눅스에서는 #을 사용하여 주석을 처리한다.
# 이 줄은 주석입니다
- 문자열 내부의 #는 주석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예: echo "#hello")
htop (프로세스 모니터링)
설치해야한다. 공식 레포에서 다운 받는 sudo apt install htop
시스템 내부 작동 상태(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등)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해서 보여주는 도구이다.
sudo apt install htop
htop
- top보다 보기 쉽고 기능이 많아 선호됨
Vim (텍스트 에디터)
기본 사용법
vim filename
- 텍스트 편집을 위한 터미널 기반 에디터이다.
- 여러 가지 모드가 존재하며, 기본은 노말 모드이다.
주요 모드 전환 및 저장
- i: insert 모드 진입
- ESC: 노말 모드로 돌아오기
- :wq: 저장하고 나가기
커서 이동 (노말 모드)
- gg: 문서 맨 앞으로 이동
- G: 문서 맨 끝으로 이동
검색 (노말 모드)
- /검색어: 아래 방향 검색
- ?검색어: 위 방향 검색
- n: 다음 검색 결과
- N: 이전 검색 결과
실행 취소 및 재실행 (노말 모드)
- u: undo (되돌리기)
- Ctrl + r: redo (다시 실행)
대소문자 구분 없이 검색하기
:set ignorecase
- :set ic로도 가능함
- 반드시 : 명령어 모드에서 입력해야 함
이런 기본 명령어들만 잘 익혀도 리눅스를 다루는 데 큰 어려움이 없어지며, 서버 관리나 개발 환경 세팅 시 큰 도움이 된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OWNERSHIP + PERMISSION (0) | 2025.04.20 |
---|---|
LINUX : SSH (0) | 2025.04.20 |
LINUX : SUPERUSER + HIDDEN FILE (0) | 2025.04.20 |
LINUX : PIPING OPERATOR (0) | 2025.04.20 |
SSH Key 설정 과정 정리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