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생태계 구성 요소
구성 요소설명
CCD (Cloud Consumer Device) | 클라우드 사용자의 디바이스, 예: 내 맥북 |
CN (Cloud Network) | 클라우드 단말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
CSP (Cloud Service Provider) | 클라우드 자원을 제공하는 주체, 예: AWS, GCP, Azure |
CSB (Cloud Service Brokerage) | 중개자 또는 MSP와 유사, 컨설팅과 통합 제공 |
CS (Cloud Security) | 클라우드 보안 영역을 담당하는 요소 |
🌍 AWS 인프라 구조
Region (리전)
- 클라우드 자원이 모여 있는 물리적 데이터 센터의 지리적 위치
- 각 리전은 최소 2개 이상의 가용영역을 포함한다.
- 리전 간의 연결은 엄청 빠른 전용 네트워크가 있다.
- 리전 선택 시 고려 요소 3가지
- 지연속도 (Latency)
- 법률 및 규제
- 지원되는 AWS 서비스 종류
Availability Zone (가용영역)
- 하나의 리전 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독립된 데이터센터
- AZ는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각 계정별로 AZ 코드와 실제 위치는 다르게 매핑됨
📍 Edge Location
- 캐싱, CDN 등을 위한 전송 최적화 거점 (예: CloudFront)
- 리전과는 별도로 존재하며,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서 콘텐츠를 빠르게 전달
⚡ AWS 대표 서비스 요약
AWS 컴퓨팅 (앞 글자 E or L)
서비스 | 설명 |
EC2 | 가상머신 형태의 컴퓨팅 자원 제공 (Elastic Compute Cloud) |
ECS |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 (Docker 등 지원) |
EKS | 쿠버네티스 기반 컨테이너 클러스터 서비스 |
Lambda |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 (이벤트 기반) |
Lightsail | 앱 배포까지 포함된 간편 서버 구성 서비스 |
네트워킹
- VPC: 클라우드 내 가상 네트워크 구성
스토리지
- S3: 객체 저장 방식의 대용량 스토리지 서비스
EC2 인스턴스 핵심 개념
▶ EC2란?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 자원을 가상머신 형태로 제공하는 AWS 컴퓨팅 서비스
▶ EC2 인스턴스 특징
- 초 단위 과금 (on-demand)
- 빠른 배포와 탄력 확장 가능
- 유형/세대/크기별 다양한 구성 가능 (예: t2.micro)
- t: 인스턴스 패밀리
- 2: 세대
- micro: 크기
▶ 인스턴스 상태
상태 | 설명 |
대기 중 | 생성 후 대기 |
실행 중 | 현재 동작 중 |
중지됨 | 일시 정지 상태, 재시작 가능 |
종료됨 | 완전 삭제, 복구 불가 |
중지 중 / 종료 중 | 상태 전환 중 |
재부팅 | 재시작 명령 후의 일시 상태 |
📁 AMI (Amazon Machine Image) -> 인스턴스 이전 설계도
EC2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필요한 OS, 소프트웨어, 설정 등을 담은 설계도(이미지)
- 사용자가 직접 생성 가능
- 동일 환경을 여러 인스턴스에 복제 가능
- 운영체제 포함
- 리전 간 복사 가능
🛒 EC2 인스턴스 구매 옵션
- On-Demand: 사용한 만큼 과금 (초 단위)
- Spot Instance: 남는 인스턴스 자원을 경매 형식으로 저렴하게 구매
- Reserved Instance: 장기간 사용 전제(1년/3년), 할인율 적용
- Dedicated Host: 물리 서버 단위로 임대 (보안/라이선스 특화)
'Cloud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DNS (AWS Route 53) & CDN (AWS CLOUDFRONT) (2) | 2025.04.24 |
---|---|
#5. AWS NETWORKING + VPC (0) | 2025.04.24 |
#3. TECHNOLOGY (1) | 2025.04.23 |
#2. FEATURE + SERVICE + DEPLOY (0) | 2025.04.22 |
#1. INIT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