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Computing 6

#6. DNS (AWS Route 53) & CDN (AWS CLOUDFRONT)

DNS 서비스와 Amazon CloudFront 정리 DNS 서비스란?DNS(Domain Name Service)는 문자 형태의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이다.예: google.com → 142.250.72.206사람들이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실제 통신에 필요한 IP 주소를 찾아준다.구글 등 대형 서비스는 여러 IP를 사용해 부하 분산과 안정성 확보DNS 통신 과정도메인을 구매한다.DNS 서버에 도메인을 등록한다.사용자가 도메인을 입력하면, DNS 해석기가 도메인 서버에 요청한다.루트 → TLD → SLD 네임 서버 순으로 정보를 받아와 IP 주소를 리턴한다.이 과정은 UDP 53번 포트를 사용하는 DNS 프로토콜로 통신함.도메인 구조 예시: www.blog.naver..

Cloud Computing 2025.04.24

#5. AWS NETWORKING + VPC

OSI 7계층 (네트워킹 7 계층)데이터를 어떻게 주고받을까? 계층을 나눠서 통신의 역할을 분담한 구조계층이름설명1물리 (Physical)하드웨어 전송 (케이블, 전압)2데이터링크 (Data Link)물리 계층의 송수신 데이터 흐름 제어3네트워크 (Network)목적지까지의 전달 경로 설정 (IP 주소)4전송 (Transport)종단 간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보장 (TCP/UDP)5세션 (Session)응용 간 통신 연결 제어6표현 (Presentation)데이터 형식 변환 (예: 암호화, 인코딩)7응용 (Application)사용자와 직접 맞닿는 프로그램 계층IP 주소와 서브넷IPv4 vs IPv6IPv4: 32비트, 192.168.100.1IPv6: 128비트, 더 넓은 주소 공간 제공IPv6는 보안..

Cloud Computing 2025.04.24

#4. AWS

클라우드 컴퓨팅 생태계 구성 요소구성 요소설명CCD (Cloud Consumer Device)클라우드 사용자의 디바이스, 예: 내 맥북CN (Cloud Network)클라우드 단말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CSP (Cloud Service Provider)클라우드 자원을 제공하는 주체, 예: AWS, GCP, AzureCSB (Cloud Service Brokerage)중개자 또는 MSP와 유사, 컨설팅과 통합 제공CS (Cloud Security)클라우드 보안 영역을 담당하는 요소🌍 AWS 인프라 구조 Region (리전)클라우드 자원이 모여 있는 물리적 데이터 센터의 지리적 위치각 리전은 최소 2개 이상의 가용영역을 포함한다.리전 간의 연결은 엄청 빠른 전용 네트워크가 있다.리전 ..

Cloud Computing 2025.04.23

#3. TECHNOLOGY

클라우드 컴퓨팅 생태계 구성 요소 CCD (Cloud Consumer Device)클라우드 사용자의 디바이스, 예: 내 맥북CN (Cloud Network)클라우드 단말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CSP (Cloud Service Provider)클라우드 자원을 제공하는 주체, 예: AWS, GCP, AzureCSB (Cloud Service Brokerage)중개자 또는 MSP와 유사, 컨설팅과 통합 제공CS (Cloud Security)클라우드 보안 영역을 담당하는 요소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기술 4가지1. 가상화2. 보안기술3. 스토리지4. 분산처리 가상화?물리적 IT 자원을 논리적으로 나누어, 여러 개의 가상 실행 환경으로 만드는 기술가상화 이전하나의 물리 서버 = 하나의 OS ..

Cloud Computing 2025.04.23

#2. FEATURE + SERVICE + DEPLOY

NIST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가 정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클라우드 모델은, 5가지 본질적 특성, 3가지 서비스 모델, 4가지 배포 모델로 구성된다 하였다.우린 NIST가 제공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를 따라 학습해보자.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특성 5가지1. 온디멘드 셀프 서비스 (On-Demand Self-Service)사용자는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원하는 시간 동안 컴퓨팅 자원을 스스로 요청하고 사용할 수 있음전통적인 IT 환경에서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요청해야 했지만,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셀프 서비스로 빠르게 자원 확보 가능즉시 사용 가능하므로 시간과 인력 자원이 절약됨2. 광대역 네트워크 접근 (Broad Network Access)다양한 네트워크로 다양한 종류의 장치(노트북, 스마트폰, 태..

Cloud Computing 2025.04.22

#1. INIT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무엇인가?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만큼, 필요한 시간만큼, 인터넷을 통해 IT 자원(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등)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식이다. 사용자는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리소스를 임대하여 사용하며,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한다. 이는 전통적인 온프레미스 시스템과는 대조적이다.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특성 (5가지)요청에 의한 스스로 서비스 (On-demand self-service)사용자가 포털, API, 콘솔 등을 통해 직접 원하는 컴퓨팅 자원(서버, 스토리지 등)을 요청하고 즉시 사용할 수 있음광대역 네트워크 접근 (Broad network access)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어디서든 다양한 장치(..

Cloud Computing 2025.04.21